최악의 윈도우즈8을 사용하면서 설치 후 해야 하는 작업 모음입니다. 윈도우8 팁
- CPU 점유율이 50%가 계속 넘어갈 때
작업 방법 1. 타사 프로그램의 영향 확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중 파일공유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면 현재와 같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예)uTorrent, Nat service, P2P사이트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등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업 방법 2. 홈 그룹 설정 확인
이미 확인해 보셨으나 홈그룹을 완전히 종료 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Windows 7 및 8 버전에서 경우 특정 PC에서 홈그룹에 참가되있는 경우 CPU점유율이 상승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다음의 작업을 통해 홈그룹을 종료하여 봅니다.
- 시작화면에서 홈 그룹을 입력한 다음 홈 그룹을 클릭합니다.
- 홈 그룹에서 나가기를 클릭합니다.
- 홈 그룹에서 나가기를 클릭하고 마침을 클릭합니다.
작업 방법 3. 하드웨어 드라이버 업데이트
현재 사용중인 PC 의 모델을 확인 하여 Windows 8에 대한 드라이버 (BIOS, 칩셋, 네트워크, 그래픽… etc)를 업데이트 합니다. 일부 PC의 경우 하위 버전 윈도우에 대한 드라이버로 인해 호환성 문제로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습니다.
- RECIMG를 이용한 자체 복구 이미지 만들기
윈도우8에는 자체 복구 이미지를 만드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윈도우키+R을 눌러 CMD를 입력하여 커맨드 도스 입력창으로 들어갑니다.
창이 하나 뜨게 되면
mkdir D:\backup
recimg -createimage C:\backup 를 순서대로 입력을 하고 실행을 하면 작업이 시작됩니다.
고스트 프로그램이나 기타 백업 프로그램 없이 혹은 업그레이드 버젼 윈도우를 구입하셔서 백업 이미지/부팅 이미지가 없으신 분들은 저렇게 이미지 생성하셔서 복구디스크로 USB에 넣고 다닐 수 있습니다.
- 디스크 점유율 문제 해결법
홈그룹을 사용안함 설정하며 가능하지 않다는 에러가 나오면 아래 4가지 방법을 사용해 봅니다.
- 서비스의 Peer 관련 항목의 서비스 중지 해제
-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 VMware 일시 사용중지
- 문제해결 마법사(홈그룹)
- 서비스의 HomeGroup 다시 설정하기(출처 : http://experience.so/211 http://liverex.tistory.com/524 http://arch7.net/227)
- USB 3.0 관련 이슈들
이것때문에 윈도우7로 다운그레이드를 심각하게 고민할 정도로 많은 문제들을 겪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예가 있는데요
USB 장치가 자꾸 하위 버전으로 연결되는 경우 (2.0 장치를 2.0 포트에 연결했는데 1.1 장치로 연결이 되는 경우) 사용 중인 USB 장치가 아무런 이유 없이 빈번하게 연결이 끊겼다가 재연결되는 경우 사용 중인 USB 장치가 갑자기 작동을 멈춰버리는 경우USB 장치를 연결하면 알 수 없는 장치로 인식이 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USB 장치를 연결해도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USB 장치의 성능이 이유 없이 떨어지는 경우 특정 USB 포트에서만 장치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하드웨어 적인 오류는 전원이 충분히 공급되고 메인보드 바이오스 및 기타 업그레이드(Etron 3.0과 같은)가 완료되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USB 선택적 절전 모드
USB 선택적 절전 모드란 사용하지 않는 USB 장치와 포트를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윈도우의 전원 관리 기능입니다.
선택적 절전 모드 기능은 컴퓨터에서 오랜 시간 사용되지 않은 USB 장치를 끄도록 하여 USB 장치를 일시 정지 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합니다. 그러나 선택적 절 모드 기능의 드문 오류 때문에 USB 장치가 응답하지 않거나, 이 기능 때문에 USB 장치가 제대로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할 때 USB 장치가 응답하지 않게 된다면 끄는 것이 좋습니다.
제어판(모든 제어판 항목) -> 전원 옵션 -> 전원 관리 옵션의 설정 변경 ->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 USB 설정 -> USB 선택적 절전 모드 설정 사용 안 함
아이폰 및 아이패드 인식 불량시 장치관리자에 느낌표 떠있는 아이폰 장치를 찾아서 드라이버를 삭제 후 선을 다시 꼽으시면 해결이 됩니다.
- 윈도우8 부팅 에러 해결법
1. 특정 Windows 8 부팅 안 됨(no BOOT) 문제
“재시작, 종료 또는 최대 절전 모드 후에 Windows 8이 멈추거나 부팅되지 않음”
“Windows 8 업그레이드 후 컴퓨터가 검은색 화면으로 부팅함”
2. Windows 8 운영 체제 복구
Microsoft는 컴퓨터에서 Windows를 제대로 시작할 수 없지만 Windows 부팅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경우 종합적인 복구 및 복원 문제 해결을 개발했습니다.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어 블루 스크린과 함께 복구페이지가 나타나는 경우 이 문제 해결 내용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문제 해결에서 사용되는 도구에는시스템 복원,자동 복구(이전의 시동 복구)및시스템 새로 고침이 포함됩니다.
Microsoft 복구 및 복원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 정보를 보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3. BIOS를 기본값으로 재설정
4. 모든 외부 장치 분리
일부 하드웨어가 Windows의 표준 모드 부팅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다음 장치 등을 모두 분리하십시오.
프린터, 스캐너, 미디어 카드 리더, 소형 미디어 크래들(iPod, PDA, MP3 플레이어 등),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녹화기, USB 저장 장치, 모든 옵티컬 드라이브의 CD 또는 DVD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마우스 및 키보드만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5. 바이러스 및 맬웨어 문제 해결
6. 운영 체제를 출하 시 기본 설정으로 복원
현재까지 약 2년 윈도우8을 사용하면서 겪은 많은 문제들을 다 정리할 수는 없겠네요. 😀 빌어먹을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