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밤하늘을 동경하며 천체관측을 하며 사진을 찍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는 과연 우리가 보는 별자리가 무슨 별자리인지 궁금할때가 있지 않나요?

그 궁금증을 해결할 사이트를 리뷰하고자 합니다. 그것도 사진만 적당히 별 보이게 편집하고 업로드하는 Easy-to-use 방식이라 아주 쉽습니다. 먼저 원본 사진은 아래에 올립니다. 먼저 사진의 정보는 우리나라 광해와 스모그가 가장 심한 서울 도심에서 촬영을 하였구요, F250-5초 노출에 적도의 정보는 셀레스트론 CG-5 으로 경통 위에 피기백하여 촬영 하였습니다. 초점거리는 105mm가 나오겠네요. 렌즈는 시그마렌즈를 사용하였습니다.

여기에서 밑에 보이는 건물에 모습과 별이 좀 더 잘 보이게 포토샵으로 편집을 해줍니다. 편집도 그냥 간단하게 하죠. 레이어 마스크를 만들어주고 셀렉트 메뉴에서 Color range를 이용해서 검은 부분을 선택한 다음에 그냥 단순하게 검은색으로 Alt+Del 칠해버리고 레이어 부분만 남겨놓고 삭제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크롭을 해서 아래부분은 잘라버린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SONY DSC

뭐 그럭저럭 별들이 잘 보이는 상황인데요 😀 조금 노이즈가 별이 찍힌것처럼 보인다는게 단점아닌 단점이겠지요. 자 저 별들을 직접 눈으로 본다면 밝은 별에 의지해서 대강 어느 별이구나 생각을 할 수 있겠지만 사진으로 남겨놓고 나중에 어디였지? 찾을 경우 아주 난감한 상황이 됩니다.ㅠㅠ 이럴경우에 유용하게 내가 찍은 별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1. http://nova.astrometry.net/upload에 접속을 하여 위와 같이 편집한 jpg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2. 10초간 기다리라고 나오는데 사진을 판독하는 시간입니다. 그냥 가만히 계시면 되죠,.ㅋ
  3.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왔습니다.

1st resultㅎㅎㅎ 뭔가 알수 없는 말들과 로그들이 적혀있는데요. 다 쌩까고 걍 Go to Result Page를 클릭 합니다.

wow-2
허허 완료가 되었네요. 참고로 제가 찍은 사진 근처에 이미지들과 오른쪽 하단에 각종 태그들 그리고 어디쯤에서 보일거고 촬영이 되었을 꺼다 등 여러가지 정보들이 표시가 됩니다. 가장 중요한 가운데에는 많이 듣던 마차부자리의 알파성인 카펠라가 적혀 있네요. 이게 100% 정확한지는 저도 잘 모르겠지만 엄청날 정도로 신기하게 별자리들을 찾아주니 언제 16mm 렌즈 물려서 동서남북을 모조리 찍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각종 별자리 앱들과 어플들, 그리고 자동화되어가는 시스템들이 우리에게 좀 더 가깝고 친숙하게 별들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뭐 제가 죽기전에 별들이 먼저 사라지진 않을테니 이제 느긋하게 지켜봐야겠죠.

천체 사진 이제부터 많이 많이 찍어보아요. :ㅇ

천체 사진 촬영 – 내가 찍은 사진이 어디 별자리이지?
태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