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ook Live My Cloud 최근에 많은 분들이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NAS를 많이 구축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초보 사용으로 추천해드리는 제품은 비교적 최근에 츌시된 웨스턴디지털(WD)사에 마이클라우드를 많이들 얘기하시는데요. 먼저 NAS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다음과 같이 특징을 요약해 드립니다.
- 가정에서 컴퓨터를 꺼놓고 전력 소비가 1/10 정도인 NAS로 전기를 절약
- 파일 서버로 공유되기 때문에 집에 있는 자료를 백업하거나 올려놓음으로써 쉽게 공유가 가능
- TV에서 바로 동영상을 보고 싶을 때
- 에어비디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타 간단한 웹서버로서도 활용 가능(킴스큐 같은 가벼운 CMS 추천)
외장하드와는 다른 특징들을 가진 나스를 만드는 회사는 여러 곳이 있는데요 WD에서도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My Book시리즈에서 Live라는 추가 제품을 발매하게 되었고 그 업그레이드 판이 My Cloud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2TB 마이클라우드 구매할 자금으로 3TB의 마이북라이브를 구입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y Book Live 1 core processor 800MHz, 256MB RAM 읽기 속도는 약 90MB/s No USB (클라우드 용량을 늘리기 어려움) 디스크 백업은 오직 다른 마이북 라이브 기구로만 가능 유저의 적은 사용, 공유 관리의 부실함 거의 소음이 없으며 과부하 환경에서도 정말 조용함 팬이 없음 (소음이 없는 이유) 매우 낮은 전력 사용량 (아마 끌 필요가 없을듯) 마이클라우드와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 부족한 웹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정보 예전 버젼의 Twonky (DLNA) 오래된 제품 (워런티는 3년) 검은색만 가능
My Cloud 2 core Cortex-A9 processor 650MHz, 256MB RAM, 512MB FLASH 읽기 속도는 약 75MB/s, 쓰기 속도는 40-60.MB/s USB 3.0 (컴퓨터와의 연결은 안되며 외장 하드로 용량 추가시 사용됨) 스냅샷이 적용된 디스크 백업 및 어떤 마이클라우드나 USB 장치들로 가능 조금은 나은 관리 인터페이스 마찬가지로 소음이 거의 없음 팬이 없음 매우 낮은 전력 사용량 마이북라이브와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매우 편하고 빠른 유저 인터페이스 Twonky (DLNA 솔루션) 신제품 (워런티는 2년) 흰색만 가능
먼저 가장 큰 차이점은 내부 스펙인데요 싱글 코어를 채택한 마이북라이브와는 달리 마이클라우드에서는 연산량은 조금 떨어지지만 듀얼코어 및 512메가 플래쉬를 채용하였네요. 하지만 두 제품 다 매우 만족할 만한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LAN 지원이나 Cloud(웹하드 같이 쓸 수 있죠) 기능의 편리함 TV로 동영상 시청 등 기본기에 있어서는 훌륭한 제품입니다. 아마도 내장된 하드는 두 제품 모두 WD RED가 채용되어 있는데 나스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좋은 제품이죠. 단점에 대해서는 프린트 서버로 사용 불가, IP 모니터링 불가능, 웹서버로 사용 불가 등 아무래도 고가의 제품보다는 딸리네요. 이러한 단점들은 커스터마이징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하나 정식 프로그램에서는 지원하지 않죠. 웹서버는 현재 대쉬보드에 있는 메일 기능을 포기하면 가능은 합니다만 과연 이 제품을 웹서버로 혹사시키는 분이 있을까요?:D 나스 본연의 기능으로 적당히 사용하시려면 예전 버젼인 마이북라이브도 충분히 가능하며 현재 출시된 마이클라우드보다 안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나 기술적 지원이 활발하며 나는 신제품이 무조건 좋구 검은색보다 하얀색이야.. 하시면 마이클라우드로 선택하세요.^^ 저도 하얀색이 좋아서 구매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ㅎㅎ
구매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ㅎㅎ
약 50여일 사용하고 있는데 우연히 WD에서 리퍼로 나온 4테라 제품을 구입하였는데 성능은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집에 기가비트 구성을 하였으며 속도는 70~80mb/s 정도로 아주아주 준수한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줍니다.
스마트티비와 연동은 필수.! 자막 또한 보입니다. 다만 순정으로 사용할 경우 아직 마이클라우드 앱에 대한 효용성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