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할 때 가장 중요한 적도의 극축 맞추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imagesZJL7YKM5

  • 간편한 극축 정렬
사진 촬영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극축 정렬 방법입니다.
① 관측 지점의 위도를 지도를 통해 파악한다. 요새는 스마트폰으로 쉽게 위도를 알 수 있습니다.
② 그림에 나와 있는 고도 조정 나사를 움직여 자기 지방의 위도에 맞게 세팅한다.
③ 나침반으로 북쪽을 찾아서 망원경이 북쪽을 향하게 한다.
적도의
  • 북극성이 보일 때 할 수 있는 극축 맞추기
① 적경 크램프를 풀어서 내장되어 있는 극축 망원경이 보이도록 오른쪽 그림처럼 장치한다.
② 극축 망원경의 마개를 열고 자신의 시력에 맞게 좌우로 접안부를 회전하며 초점을 맞춘다. 
③ 북극성을 시야 중앙에 오도록 고도, 방위각 조절 나사로 맞춘다. 극축 망원경이 없다면 극축 망원경이 들어가는 구멍에 북극성이 보이도록 한다.

※ 방위각 조정나사를 사용할 때 한 쪽을 풀면서 조여 주어야 한다. <나침반> 가대와 평행으로 나침반을 놓고 사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극축망원경 이용하기
극축
① 적도의의 극축이 북극성을 향하게 한다.
② 오른쪽 그림에 보이는 수평기 속의 물방울이 빨간원 안에 들어가도록 수평을 조절한다.
③ 극축 망원경 앞쪽에 있는 암시야 조명장치의 스위치를 켠다.
④ 적위클램프를 열고 경통을 돌려 극축망원경이 보이도록 한다. 제대로 돌리지 않으면 가려져서 보이지 않거나 빛이 손실된다.
⑤ 극축 망원경의 초점을 시력에 맞게 조절한다.
⑥ 지도(또는 GPS)를 이용하여 관측 장소의 경도를 확인하고 오른쪽 그림에 보이는 경도 스케일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만큼 눈금을 돌린다. “0”은 135°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서울의 경우 경도가 127°이므로 서쪽으로 8°정도 돌린다.
⑦ 적경지시눈금에 적경환을 0시에 맞추어 놓고 나사를 돌려 고정시킨다.(관측시엔 나사를 풀어 놓는다)
⑧ 적경 클럼프를 풀고 망원경을 돌려가며 날짜와 시간을 맞춘다. (적경환이 시간이며 눈금당 10분이고 그 옆의 흰색환이 날짜이고 눈금당 2일이다.) 이 때 모터가 장착되어 잇는 경우엔 켜 놓고 하는 것이 좋다.
⑨ 다 맞추었으면 극축망원경 시야에 북극성이 들어오도록 방위각조절나사와 고도조절나사를 이용해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화살표 속에 북극성이 정확히 들어가도록 한다. (옆에 있는 사각형은 남반구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정확히 다 맞추었을 경우 극축 망원경의 중심은 극축에 맞추어지게 된다.
⑩ 지구는 세차운동으로 인해 매년 그 자전축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극축망원경으로 극축을 맞출 때, ⑩ 그림처럼 매년 그 위치를 변환시켜 주어야 한다.

처음엔 어렵지만 여러번 하다보면 쉬워질 거 같은데, 어떠신지요? 먼지만 쌓여가는 장비를 생각해서 정밀한 극축 맞추기에 도전해봐야겠습니다.ㅋㅋ

적도의 극축 맞추기 – GP 가대를 이용한 극축
태그:     

댓글 남기기